전에 한번 얘기했듯이 한국어와 영어는 음성언어 전달에 있어서 강조해야 하는 포인트가 전혀 (x100!!!) 다르다. 한음절 음절 정확한 발음을 중요시하는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각 음절의 정확한 발음보다 단어의 강세와 문장의 소리 높낮이가 훨씬 중요하다. 예를 들어 "analysis" 는 한국어처럼 "어.낼.리.시.스" 로 발음하면 잘 알아듣지 못한다. 제대로 발음해서, 강조점을 표시해서 쓰자면 적당한 발음은 "어낼러시스" 정도? 맨앞의 "a" 는 슈와 (schwa) 라고 하며 거의 발음이 되지 않는 요소이다. 영어에서는 강세와 억양 외에 한가지 더 중요한 요소가 있다. 바로 단어에서 음절의 장단이다. 한국어 단어에도 물론 장단의 구분이 있는 것이 더러 있다. 우리가 초등학교 시절부터 국어시험 단골 메뉴..
미국에 살면서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던 것들 중 하나. 여기 사람들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을 때 사과를 하는 타이밍이다. 더 정확히는, 타이밍이라기 보다는 사과해야 할 이슈가 얼마나 중대한 것이냐가 되겠다. 웃긴 것이 그다지 사과할 필요가 없는 일에는 "I'm sorry." 를 남발하면서 정작 사안이 중대하면 미안하다는 그 한마디는 정말 듣기 힘들어진다. 예를 들어, 길이나 통로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어가다 서로 길을 막게 되면, 멈칫 하면서 십중 팔구 "I'm sorry." 라는 말이 튀어 나온다. 그리곤, 왼쪽이나 오른쪽을 살짝 비켜 가던 길을 계속 가게 될 것이다. 한국에서 이런 경우가 생기면 누가 "죄송합니다" 라고 얘기 하는가? 사실, 이런 사소한 일에 미안함을 느끼지도 않을 것이고, 사과를..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마크 주커버그, … IT 산업에서 한 획을 그은 유명한 창업자들의 이름을 하나 둘 열거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심지어 이들 중 이미 고인이 됐거나 은퇴한 인물들도 우리는 심심찮게 일상 뉴스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이 포스팅에서 얘기해 보고 싶은 인물은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 (Larry Page) 이다. 앞에서 열거한 유명한 창업자들과 달리 래리는 공식 석상에 나서는 일이 드물고 대외 활동이 거의 없어, 그가 창조해낸 구글이라는 기업의 유명세에 비하면 존재가 많이 알려지지 않은 느낌이다. 래리 페이지를 처음으로 직접 본 것은 구글 출근 첫주 금요일에 있었던 TGIF 행사였다. 몇몇 실리콘 밸리의 회사들이 그러하듯, 매주 금요일마다 회사의 CEO 나 창업자가 앞..